백남준 시스틴 채플
close백남준(1932-2006)은 ‘비디오 아트(Video Art)’라는 새로운 예술 형식의 선구자로 원래 음악에서 시작하여 실험성이 강한 미술로 자기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의 비디오 아트는 동·서양의 문화적 특성과 그것들 간의 교류, 그리고 문화∙인류사적인 관심들을 주제로 하고 있다. 또한 그는 기존의 예술 개념을 거부하고 반전통적인 행위 예술을 전개한 플럭서스(Fluxus) 그룹의 일원으로도 유명하다.
그가 비디오를 통해 이룩한 조그만 혁명은 뒤샹(Marcel Duchamp)이 제시한 오브제(Object)관, 즉 예술가에 의해 선택된 일상적 오브제는 예술적인 맥락으로 위치 전환하는 발견된 오브제의 개념을 보다 확대시켜 놓았다는 것이다. 그것은 레디메이드(Ready-made)에 대한 오브제적 유희보다 예술에 대한 본질적 향수와 명상의 세계를 열어 놓음으로써 레디메이드를 통해 차용된 이미지들을 다시 바라보며 상상하게 한다.
작가 소개 전문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웹사이트 (https://mmca.go.kr)
그가 비디오를 통해 이룩한 조그만 혁명은 뒤샹(Marcel Duchamp)이 제시한 오브제(Object)관, 즉 예술가에 의해 선택된 일상적 오브제는 예술적인 맥락으로 위치 전환하는 발견된 오브제의 개념을 보다 확대시켜 놓았다는 것이다. 그것은 레디메이드(Ready-made)에 대한 오브제적 유희보다 예술에 대한 본질적 향수와 명상의 세계를 열어 놓음으로써 레디메이드를 통해 차용된 이미지들을 다시 바라보며 상상하게 한다.
작가 소개 전문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웹사이트 (https://mmca.go.kr)

테크니션: 강신대
〈시스틴 채플〉은 수십 대의 비디오 프로젝터로 구성된 설치 작품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영상을 전시 공간의 벽과 천장에 중첩시켜 빛과 소리로 매혹적인 환경을 만들어낸다. 백남준은 미켈란젤로의 시스틴 채플 천장화에서 영감을 받아 이 작품을 제작했다. 실제 예배당의 천장화에는 창세기의 내용과 성인들이 그려져 있지만, 백남준의 예배당에는 그의 영상작품들과 동시대 예술가들이 등장한다. 첫 번째 채널은 백남준이 사카모토 류이치(坂本龍一, Sakamoto Ryuichi), 샬롯 무어만(Charlotte Moorman),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 존 케이지(John Cage), 머스 커닝햄(Merce Cunningham) 등과 진행했던 공동 작업의 이미지 조각들이다. 두 번째 채널은 이국적인 생김새의 물고기가 헤엄치는 장면으로, 백남준의 〈하늘을 나는 물고기〉(1983-85/1995)를 연상시킨다. 세 번째 채널의 제목은 〈깃발을 든 펑크 소녀〉로, 미국 성조기 위에 누워 있는 누드의 여성이 소용돌이치는 영상이다. 네 번째 채널은 백남준과 요제프 보이스(Joseph Beuys)가 도쿄에서 함께 했던 공연을 편집한 것이다. 이 작품은 백남준이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에 독일관 작가로 참여했을 당시 발표한 것으로, 대담한 공간 연출과 작품 배치를 통해 압도적인 경험을 선사해 호평을 받았다. 백남준은 이 전시로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작품 소개 전문 출처 : 울산시립미술관 웹사이트 (https://www.ulsan.go.kr/uam)
작품 소개 전문 출처 : 울산시립미술관 웹사이트 (https://www.ulsan.go.kr/uam)